자료구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Ⅷ 트리 Chapter 08 트리 1. 트리의 개념① 트리란?트리는 계층적 구조를 나타내는 자료구조로, 실제 트리를 거꾸로 엎어 놓은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트리라 부른다. 리스트, 스택, 큐 등은 선형구조에 해당한다. - 트리는 부모-자식 관계의 노드들로 이루어진다. - 응용분야: 계층적인 조직 표현, 컴퓨터 디스크의 디렉토리 구조, 인공지능에서의 결정트리 (decision tree) - 트리의 종류는 이진트리와 일반트리가 있다. 기존의 자료구조와 다른 점은 ‘분류’의 개념이 들어가는 것이다. ② 선형 자료구조와 비선형 자료구조선형 자료구조(Linear) - 선형 자료구조란 하나의 자료 뒤에 하나의 자료가 존재하는 것이다. - 자료들 간의 앞뒤 관계가 1:1의 선형관계 - 배열과 리스트가 대표적이고 더 나아가.. Ⅴ 큐 Chapter 05 큐 1. 큐(Queue) ① 큐란? 삽입은 맨 뒤에서 진행되고 삭제는 맨 앞에서 진행되는 것이 큐 큐: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 - 선입선출(FIFO: First-In First-Out) - (예) 매표소의 대기열 자료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핵심)은 삽입&삭제 ② 큐ADT 객체: 0개 이상의 요소들로 구성된 선형 리스트 연산은 다음과 같다. create(max_size) :: = 최대 크기가 max_size인 공백큐를 생성한다. init(q) ::= 큐를 초기화한다. is_empty(q) ::= if(size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is_full(q) ::= if (size == max_size) return TRUE; .. Ⅳ 스택 Chapter 04 스택 1. 스택 ① 스택이란? 스택(stack): 쌓아놓은 더미 삽입하고 삭제하는 방식에 따라서 자료구조의 종류가 나뉜다. 즉, 자료구조를 결정하는 요인은 2가지다. 삽입과 삭제. - 스택에서 입출력은 맨 위에서만 일어나고 스택의 중간에서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없다. -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스택 상단(stack top)이라 하고 반대쪽인 바닥부분을 스택 하단(stack bottom)이라고 한다. - 스택에 저장되는 것을 요소(element)라고 부른다. - 스택에 요소가 하나도 없을 때 그러한 스택을 공백 스택(empty stack)이라고 한다. ② 스택의 특징 후입선출(LIFO:Last-In First-Out): 가장 최근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간다. 스택은 특히 자.. Ⅰ 자료구조 Chapter 01 자료구조와 알고리즘1. 자료구조란?데이터를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효율적으로 구조화하고 저장 및 처리하는 모든 작업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다량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료가 뒤죽박죽이면 찾기도 어렵고 낭비도 심할 것이다. 도서관의 책들을 아무데나 꽂는 것이 아니라 도서의 분류와 구조를 갖춰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컴퓨터 내에서도 자료를 어떤 식으로 처리할 것인가에 대해 궁리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소통의 수단이며 도구인데 자료구조를 배우는 것은 그 도구를 잘 사용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어요.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법만 안다고 해서 프로그래밍을 잘한다고 볼 수 없다. 사용법을 아는 것과 잘 작성하는 것은 다른 것이다. 자료구조는 정보처리기사의 중요..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