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Language/Python

Ⅲ Conditional Statement

seij 2024. 4. 11. 01:43

 
03 조건문

1. 불 자료형과 if 조건문


Boolean은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으로 True와 False를 나타내는 값이다.
Boolean은 불린 또는 불리언이라는 발음으로 부른다.
불은 오직 참 또는 거짓 값만 가질 수 있다. 
참과 거짓은 어떤 명제의 결과가 될 때 의미를 갖는다.
 


1)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숫자 또는 문자열에 적용하며, 대소를 비교하는 연산자다.
불은 비교 연산자를 통해 만들 수 있다.
==
!=
<
>
<=
>=
이와 같은 연산자의 연산 수행 결과는 True 또는 False로 나타난다.
 


2) 불린 연산 - 논리 연산자

논리연산자는 not, and, or 연산자가 있으며, boolean을 만들 때 사용한다.
불린 끼리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print(not True)
-> False
 
print(True and False)
-> False
 
print(True or False)
-> True
 
 

3) 논리 연산자의 활용

10시 이후 2학년만 수강신청 가능
두 가지 조건 모두 만족할 때만 수강신청이 가능한 것처럼 and 연산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
 
롯데카드나 현대카드는 무이자 할부 3개월 가능이면
or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4) if 조건문이란?

if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이다. 
if 조건에는 불린 값이 나오는 표현식이 붙는다.
if True:
    print("참입니다.")
(enter)
참입니다.
 
 


5) 날짜/시간 활용하기

여러가지 조건문 중 몇 가지를 더 살펴보자.
import datetime (모듈 기능을 통해 datetime 기능을 불러온다.)
now = datetime.datetime.now() (함수로 현재 시간을 구해 now 변수에 대입)
print(now.year, "년")
2024년

 


 
6) 조건문 작성해보기

import datetime

current_time = datetime.datetime.now()
hour = current_time.hour

if 6 <= hour < 12:
    print("좋은 아침입니다!")
elif 12 <= hour < 18:
    print("안녕하세요!")
elif 18 <= hour < 24:
    print("좋은 저녁이에요!")
else:
    print("안녕히 주무세요!")



 
2. if-else와 elif 구문

1) else 조건문의 활용

if 조건문 뒤에 사용되는 else 구문은 if 조건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부분이다.
 
a = input("정수입력: ")
a = int(a)
 
if a%2==0:
    print("짝수")
else:
    print("홀수")
 
<실행>
정수입력: 11 (enter)
홀수
 


2) elif 구문

조건이 딱 두 가지만으로 구분되지 않는 경우에는 elif 구문을 사용한다. 
 
if 조건1:
조건1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elif 조건2:
조건2가 참일 때 실행할 문장
 
elif 조건3:
조건3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else: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문장
 
 


3) 조건문 사용

number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if number > 0:
    print("입력한 숫자는 양수입니다.")
elif number == 0:
    print("입력한 숫자는 0입니다.")
else:
    print("입력한 숫자는 음수입니다.")

 


4) False로 변환되는 값

False로 변환되는 값은 None, 숫자 0과 0.0, 빈 컨테이너(빈 문자열, 빈 바이트열, 빈 리스트, 빈 튜플, 빈 딕셔너리 등)
 

5) pass 키워드 

나중에 구현하려고 비워둔 상태를 pass 키워드를 통해 그냥 넘길 수 있다.
코드를 살펴보는중에 pass 키워드를 만나면 아무것도 안 함, 곧 개발하겠음 이라는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if a > 0:
   pass
else:
   pass
 
(아직 미구현 상태인 것)
 
pass 키워드는 프로그래밍의 전체 골격을 잡아놓고, 내부에 처리할 내용은 나중에 만들고자 할 때 pass라는 키워드를 입력해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