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j 2024. 4. 10. 23:13

 

1. Python 소개

1)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프로그래밍이라고 부른다.

Pro = 미리, 먼저

Gram = 작성된 것

Program = 미리 작성된 것

즉, 프로그램은 미리 작성된 진행 계획같은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이란 '컴퓨터가 무엇을 해야 할지 미리 작성한 진행 계획'과 같다.

 

 

 

2)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숫자만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이진 숫자를 직접 입력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이러한 코드를 '이진 코드'라고 불렀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너무 어렵고 비효율적인 방법이었으므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들게 되었다.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것이 프로그래밍 언어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사람을 위한 언어로, 이러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소스 코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탄생을 계기로 사람들은 쉽게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3) Python

세상에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존재한다. 그중 Python은 1991년 귀도 반 로섬이 발표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다. Python이라는 영단어가 뜻하는 '비단뱀'과 연관해서 탄생한 것이 바로 다음과 같은 Python 로고다.

 

 

 

Python의 특징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이썬은 문법이 간단해서 배우기 쉽고,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으면서 굉장히 다양한 분양에 응용되는 언어다.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고, 웹 서버, 해킹도구, IoT, 인공지능 등에 모두 활용된다.

 

그러나, Python은 C언어보다 10~350배 정도 느리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성질과 빠르다는 성질이 반비례한다고 보면 된다. 파이썬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신 느리고, C언어는 사용하기 복잡하고 문법이 까다로운 대신, 빠르고 정확하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거대한 게임을 만들 때는 C, C++, C#등을 사용한다.

 

하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컴퓨터의 성능이 고도화되었기 때문에 연산이 많이 필요한 게임 프로그램이 아닌 이상, 파이썬, 루비, 자바스크립트 등이 크게 인기를 끌고 있다. 

 

 

 

 

2. Python 용어

1) 표현식과 문장

파이썬에서 어떠한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를 표현식 Expression이라고 부른다. 이때 값은 숫자, 수식, 문자열 등과 같은 것을 말한다.

표현식 하나 이상이 모이면 문장 Statement이 되고, 문장이 모여서 Program이 된다.

 

 

2) 키워드

Keyword는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단어로, 파이썬이 만들어질 때 이미 사용하겠다고 예약해놓은 예약어다. 키워드는 사용자가 이름을 정할 때 중복해서 사용하면 안 되기 때문에 따로 정의해서 구분해놓은 개념이다.

 

 

3) 식별자

식별자 Identifier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주로 변수 또는 함수의 이름을 일컫는다.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

- 키워드 사용 x

- 특수 문자는 언더 바 (_)만 사용 가능

-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

- 공백 포함 불가

 

식별자가 대문자로 시작하면 클래스명

소문자로 시작하면 함수 또는 변수명을 의미한다.

뒤에 괄호가 있으면 함수, 괄호가 없으면 변수라고 보면 된다.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대부분 이와 같이 동작한다.

 

 

4) 주석

주석 Comment은 프로그램의 진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로,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간단히 #으로 시작하여 작성하면 한 줄 주석처리가 된다. 

 

여러 줄로 주석처리를 하고 싶다면?

 

'''

주석

주석2

'''

작은 따옴표 3개

혹은 """ 큰 따옴표 3개를 작성해주면 된다.

 

"""

주석

주석2

"""

 

 

5) 연산자와 자료

연산자는 스스로 값이 되는 것이 아니고 값과 값 사이의 기능을 적용할 때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즉, +와 -처럼 단독으로 쓰일 수 없지만 양쪽에 숫자라는 값이 있을 때는 더하기, 빼기와 같은 기능을 더해주는 것이 연산자다.

 

자료를 literal이라고 하는데 그게 숫자이든지 문자이든지 어떠한 '값' 자체를 의미한다.

1이면 1, 10이면 10, "hello"면 "hello" 그대로. 값을 그 자체로 인식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6) 출력 print()

Python에서 기본적인 출력 방법은 print()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괄호 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나열해서 적을 수 있다.

print(1, 2, "Hi")

-> 1 2 Hi

 

괄호 안에 아무것도 적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단순히 줄바꿈을 수행한다.

 

 

 

 

3. Python 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