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5 분산 시스템
Chapter 12 네트워크와 분산 시스템
1. 네트워크와 인터넷
통신 Communication : 한쪽의 데이터를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것 [의사소통 하는 것]
Data Communication : 컴퓨터나 기기들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하는 통신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 여러 대의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는 통신을 하기 위한 기기 간의 연결(통신 연결)과 통신을 위한 약속, 즉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통신 규약 Protocol : 둘이 동시에 컵을 입에 대거나 귀에 대면 통신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렇듯 통신을 위한 약속을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2. 분산 시스템
인터넷을 하려면 TCP/IP를 사용해야 한다. IP는 인터넷에서 여러 개의 LAN을 거쳐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운반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고 TCP는 IP가 보낸 데이터가 원래의 상태로 도착하는지를 감시하는 프로토콜이다.
3. 클라이언트/서버
초기의 웹 시스템에 도입되어 현재까지 사용되는 컴퓨팅 환경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이다.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버 과부하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팅 환경이 P2P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 파워나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연한 컴퓨팅 환경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한다.
4. 이동통신
아날로그인 1G 이동통신 서비스는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하여 음성을 전달했다. 2G 이동통신에서는 아날로그 신호 대신 디지털 신호를 사용했다. 특히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한국이 코드 분할 방식(CDM)을 사용한 이동통신 기술을 상용화하였다. 2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급된 후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이 열풍이 불어서 전화 기능(음성망)에 데이터 통신(데이터망) 기능을 추가한 3G 이동통신이 탄생한다. 이후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높인 4G 이동통신이 개발되었다. 현재는 초고속 무선통신이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5. 서버
죽지 않고 계속 살아서 서비스를 해주는 프로그램을 데몬이라고 하며, 데몬이 깔려 있는 컴퓨터를 서버라고 한다. CGI는 웹 데몬(HTTPD)이 응용 프로그램에 질문을 하면 그 결과를 HTML에 맞게 변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6. HTML5
HTML5의 주요 특징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그래픽과 양방향 소켓 통신을 지원하며, 다양한 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7. 네트워크 저장장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저장장치는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DAS, NAS, SAN으로 구분된다.
- DAS: 서버와 같은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저장장치다.
- NAS: 기존 저장장치를 LAN이나 WAN에 붙여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 SAN: 데이터 서버, 백업 서버, RAID 등의 장치를 네트워크로 묶고 데이터 접근을 위한 서버를 두는 형태다.
NAVER는 고가용성으로 서버를 운영한다. 고가용성은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작게는 운영체제의 디스크 미러링부터 크게는 시스템 자체를 이중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재해나 정전으로부터 서버 재가용이 가능하도록 서버를 이중으로 관리한다. 컨커런트 액세스 구조에서는 여러 시스템이 동시에 업무를 나누어 병렬 처리한다.
'Operating System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XI 파일 시스템 (0) | 2023.11.28 |
---|---|
Ⅹ 입출력 시스템과 저장장치 (0) | 2023.11.28 |
Ⅸ 가상 메모리 관리 (0) | 2023.11.28 |
Ⅷ 가상 메모리의 기초 (0) | 2023.11.28 |
Ⅶ 물리 메모리 관리 (0) | 2023.11.28 |